전체 글26 [Linux] bonding 과 bridge 설정 Bridge브릿지를 왜 설정할까? Linux Bridge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스위치와 동작이 유사하다. Bridge는 주로 라우터, 게이트웨이, VM 등에서 패킷을 목적지로 포워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과정을 거치면, 브릿지를 통해 IP1, IP2, IP3은 서로 통신이 가능해진다.Bonding본딩은 왜 설정할까? Network Bonding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묶는 기능을 한다. 리눅스에서 설정해보기장비명portens1f0ens3f0ens1f1ens3f1ens1f2ens3f2bondbond1bond2bond3bridgebr0br1br2IP192.112.0.1192.112.0.2192.112.0.3 2024. 10. 8. [Network] IP 0.0.0.0/0 과 127.0.0.1 의 차이? IP를 공부하다보면 0.0.0.0 과 127.0.0.1 그리고 255.255.255.0 을 많이 접하게 된다. 이들의 차이는 무엇일까? 0.0.0.0/00.0.0.0 은 모든 IP를 의미한다.IPv4 패킷을 전송하는 컴퓨터가 자신의 IP 주소를 모르는 경우,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즉, 호스트에 정확한 address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각 host는 그 address를 자신이라고 주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웹서비스에서 0.0.0.0을 지정하면 자신의 IP를 그 address로 지정하게 되어 local로 접근이 되는 원리이다. 0.0.0.0은 Wi-Fi, Bluetooth, Ehternet 등 호스트의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주소를 포함한다. localhost와 달리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패킷.. 2024. 9. 23. [Docker] 클라우드를 위한 쿠버네티스&도커 - 7주차 (node.js를 이용한 Chat-app) Chat-app채팅앱을 만들기 앞서 npm 설치를 위한 리눅스 서버 업데이트 해주기핸드폰 앱들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해 주듯이 리눅스 패키지도 업데이트 해주는게 좋다$ sudo dnf update #npm설치를 위한 업데이트$ sudo dnf install nodejs npm *npm이란?-Node.js Package Manager-즉, node.js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 *node.js는 뭘까?-정의 :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자바스크립트는 HTML 조작과 변경을 위해 사용-즉, node.js는 JavaScript 실행 환경. node.js를 설치하면 .. 2024. 8. 12. [Network] VPN 이해해보기 사설망(Private Network)란? 인터넷의 성장은 IPv4의 폭발적인 수요를 불러왔고, 이로 인해 사설망(Private Network)이 탄생했다. IPv4의 대역 중 일부를 Private IP로 지정하여 가정, 기업, 기관 등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에서 사용하도록 했다. 사설망의 장점은 IP주소의 절약뿐만 아니라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외부 인터넷과 내부의 네트워크를 분리하고 외부 인터넷의 접근으로부터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할 수 있다. 그렇기에 필요한 경우에만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을 이용해 공인 인터넷 통신을 하고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데스크톱, 서버, DB등은 사설 IP를 할당하여 사설망을 구축하는 경우가.. 2024. 8. 1. [Docker] 클라우드를 위한 쿠버네티스&도커 - 5주차 (인그레스 Ingress) [Ingress] *Ingress란?- 클러스터 외부에서 내부에서 접근하는 요청들을 어떻게 처리할 지 정의해둔 규칙들의 모음- 인그레스는 아래오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외부에서 접속가능한 URL 사용트래픽 로드밸런싱SSL 인증서 처리도메인 기반 가상 호스팅 제공인그레스는 위와 같은 기능들에 대해 정의해둔 규칙들을 정의해둔 리소스이고, 이를 실제 동작하기 위해서는 인그레스 컨트롤러가 필요하다. 2024. 7. 26. [Docker] 클라우드를 위한 쿠버네티스&도커 - 4주차 (Redis&Voting app) [ Redis ]*Redis란?-database와 같은 데이터 저장소, 다만 저장하는곳이 Memory인 점에서 일반 db와 차이점이 있다.-데이터 저장 형식은 키-값 (Key-Value) 기반-하드디스크 대신 redis를 사용하는 이유 : db에 집중된 부하를 분산할 수 있음 -> 서버에 부담 줄어든다 쿠버네티스 구동$ minikube start redis-deployment.yaml 생성apiVersion: apps/v1kind: Deploymentmetadata: name: redisspec: replicas: 1 selector: matchLabels: app: redis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redis .. 2024. 7. 26.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