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IT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기본 구성도
-운영중에 문제점은 다시 기획으로 돌아가 작업이 반복된다
1) 서비스 기획
-담당 : 보통 사업부서 담당자
2) 설계
-담당 : 기획자, 개발자, 인프라 담당자
3) 개발
-담당 : 개발자
4) 테스트
-오픈 전 기능 및 성능 테스트
-담당 : 개발자, QA, 인프라 담당자
5) 운영
-테스트 통과 후 서비스를 오픈하고 VOC 체크하고 모니터링
담당 : 기획, 개발, QA, 인프라 담당자, 고객센터
2. 기본 인프라
①IDC & 랙
②네트워크 & 보안장비
③서버
④스토리지
1. IDC & 랙
IDC (Internet Data Center) : 서버, 네트워크 장비등을 수용하는 공간
랙 :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를 수용하는 설비
-랙 배치를 보면 보통 L2 스위치인 Access Switch(허브)가 있고 서버들이 연결된다.
2. 네트워크 & 보안장비
L2
-서버가 연결되는 switch로 Access Switch라고도 한다.
-서버에 가장 근접해있는 스위치
L3
-인터넷 회선이 연결되는 스위치
-라우터 또는 L3 Switch가 사용된다.
L4
-서버를 이중화하도록 해주는 장비
-서버 로드 밸런싱 장비라고도 한다.
3. 서버
서비스가 올라가는 장비
-CPU, Memory, 디스크(HDD)를 가지고 있는 장비
-물리 서버와 가상서버로 나누어진다.
물리 서버
-서비스에는 웹, WAS, DB서버가 사용되는데, 주로 DB서버는 물리 서버를 이용한다.
-가상 서버는 물리 서버 안에 논리적으로 OS이미지를 만들어 올린 것
가상서버
-주로 웹, 와스 서비스에 사용한다.
4. 스토리지
NAS
-웹서버에서 이미지를 같이 공유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한다.
-데이터 저장 및 공유
SAN
-DB 이중화 시 사용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MGMT포트는 뭐고 iLO는 또 뭔데 (1) | 2025.05.30 |
---|---|
[Network]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0) | 2025.05.12 |
[Network] 펌웨어란?(Firmware) (1) | 2025.02.04 |
[Network] 기본 장비 개념 (3) | 2025.01.07 |
[Network] IP 0.0.0.0/0 과 127.0.0.1 의 차이? (1) | 2024.09.23 |